• 커뮤니티
  • 새소식
새소식

뉴스 | [지디넷코리아] “핵융합 사업 단절 없애려면 생태계 구축 선행돼야” (첨단원자력/물리 윤건수 교수)

페이지 정보

2024.12.17 / 47

본문


"핵융합 사업 단절 없애려면 생태계 구축 선행돼야"

유성택 KAT 대표, 핵융합혁신연합 출범기념 패널토론서 제기

 

핵융합 분야는 정부 프로젝트가 끝날 경우 사업이 단절돼, 기업엔 혹한의 세월을 보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16일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컨퍼런스 룸에서 열린 핵융합혁신연합 출범을 기념해 열린 패널 토론에서 나온 얘기다.

KAT 유성택 대표는 "핵융합 분야 생태계 조성이 안돼 프로젝트가 2~3년 뒤 끝나면 사업이 단절돼 그 때부터 기업은 '혹한의 세월'을 보내야 한다"고 지적한 뒤 △생태계 구축 △인력양성 △상호 네트워킹 등을 주문했다.

5c004a5c3744f987c0355b5d6cdadad0_1734411230_2568.jpg 

 패널 토론 주자들.왼쪽부터 좌장을 맡은 서울대 황용석 교수,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오종석 ITER 한국사업단 본부장, 포스텍 윤건수 교수. 

 

 

프로젝트가 끝나면 뽑아놓은 인력이 기업에게는 '대책없는 재정부담'으로 남게 된다는 얘기다. 이들을 내보내거나, 다른 사업에 투입해야 하는 상황에 내몰리는 것.

이날 패널 토론에서는 서울대 황용석 교수를 좌장으로 모두 7명의 전문가가 참석해 혁신연합의 역할과 나아갈 방향 등에 대한 의견을 개진했다.

ITER(국제핵융합실험로) 한국사업단 오종석 기술본부장은 "ITER 참여 기업이 모두 140개고, KSTAR(한국형초전도핵융합장치) 참여기업도 80여 개나 된다"며 한국 기업의 제조역량을 평가했다.

포스텍 윤건수 교수는 10년 전 인력양성 사업 대비 규모와 지원면에서 현재 사업의 어려움을 호소하며 "인력양성도 좋지만, 학생들이 대학으로 유입될 전략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인애이블퓨전 최장호 CTO는 "한국의 KSTAR 장기 운영에 대해 해외서도 놀란다. 일부에선 기적이라는 단어도 쓴다"며 "현재 이탈리아, 영국, 미국 등서도 함께 일하자고 요청이 왔다. 일부는 손잡게 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마지막 주자로 나선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강보선 핵융합정책센터장은 "해외선 최근 공공+민간 합작이 많다. 다만, 해외 핵융합 스타트업은 대부분 10년 이상 역사를 가진 기업"이라고 설명하며 "해외엔 민간이 실험로를 짓기 위한 연구 환경 인프라가 갖춰져 있는 반면, 우리는 아직 대형연구 인프라 구축 노력이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강 센터장은 국내에서도 오는 2026년 착수 목표로 혁신 인프라 구축 사업을 기획 중이라며 민간 참여 기회도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강 센터장은 또 "오는 30일 핵융합 분야 비즈니스 모델을 만들 첫 단추로 컴팩트 파일럿 디바이스 행사를 기획 중"이라며 "이 자리는 비즈니스 모델의 방향과 개념을 잡을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마무리 했다. 

이에 앞서 주제발표에 나선 한승용 서울대 교수는 초전도 자석의 민간 협력 사례 발표에서 '고온 초전도 자석의 최대 난제인 '퀜치'현상에 따른 낮은 운전 안전성을 혁신적으로 해결하고, 대응한 얘기를 풀어놨다.

'퀜치'는 초전도 자석이 1~2초 동안 초전도 특성을 잃어버리는 현상이다. 이 문제를 해결한 한 교수 연구팀은 지난 2019년 직류자기장 세계기록(45.5테슬라)을 세워 영국 물리학회 산하 '피직스 월드'로부터 그해 브레이크스루 톱 10에 선정됐다.

한 교수는 "고온초전도 소재 가격이 40년 만에 처음으로 감소했다"며 "현 시세 대비 최대 30분의 1 수준으로 감소할 것"으로 예측하며 네이처에 기고했던 글을 소개했다.

한 교수는 또 기존 초전도 응용 연구의 문제점으로 ▲정량적 목표 수치 달성에 매몰(미봉책 동원) ▲체계적 공정이 아닌 제작자에 의존하는 수작업 ▲과기기술 무비판적 수용 등 3가지를 꼽았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한 교수는 조직과 연구방법, 사업화 전략을 모두 새로 세팅하고, 새로운 생태계를 구축했다고 설명했다.

1.https://zdnet.co.kr/view/?no=20241216184021 (지디넷코리아)

  • 다음글 다음글이 없습니다.
  • 이전글 이전글이 없습니다.
새소식
Total : 723
게시물 검색
새소식 목록
Notice 2024-12-17 [이뉴스투데이외5건] 한양대 정문석-포스텍 박경덕 교수 공동 연구팀, 다크 엑시톤 발광 구현 성공…광전자 공학 혁명
Notice 2024-12-17 [지디넷코리아] “핵융합 사업 단절 없애려면 생태계 구축 선행돼야” (첨단원자력/물리 윤건수 교수)
Notice 2024-12-06 [수상] 김희철 교수, 「2024년 에쓰-오일 차세대과학자상」
Notice 2024-12-06 [수상] 물리학과 조대근 박사(지도교수 이현우), 「2024년 에쓰-오일 우수학위논문상」
Notice 2024-12-05 [수상] 김범준 교수,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2024-12-04 [매경춘추] AI 시대의 교육 (물리 이재석 동문)
2024-11-21 [박경덕 교수] 초고분해 극초단 펄스 전압조절기 개발 성공
2024-11-11 [바이라인네트워크] 래블업 신정규 대표 “AI의 대항해 시대가 끝나고 있다” (물리 신정규 동문)
2024-11-07 [헬로디디] 창조 국가 향한 큰 질문 ‘그랜드 퀘스트 2025’ 개막 (물리 염한웅 교수)
2024-11-05 [경북도민일보] APCTP, ‘아태 젊은 물리학자상’에 포스텍 이길호 교수 등 3명 선정
2024-11-05 [조선비즈 외 1] 한국과학창의재단 이사장에 정우성 포스텍 교수 (산경/물리/융합 정우성 교수)
2024-10-29 [매일경제] “AI로 반도체칩 효율적 사용 도와…엔비디아도 반했죠” (물리 신정규·박종현 동문)
2024-10-24 [경상매일신문외3] 포스텍, 차세대 초고속 반도체입자 변조기 개발 성공 (물리/융합 박경덕 교수, 물리 통합과정 주희태·이형우·김수정)
2024-10-24 [박재훈 교수, 송창용 교수] 막스플랑크 한국·포스텍硏, 세계적 英연구소와 공동연구 MOU
2024-10-18 플라즈마 및 입자가속기 연구 거장, 조무현 명예교수를 추모합니다.
top_bt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