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커뮤니티
  • 새소식
새소식

뉴스 | [삼다일보] 지속 가능 제주 에너지·신산업 분야 과제 논의 (물리 문미옥 동문)

페이지 정보

2025.09.24 / 217

본문

지속 가능 제주 에너지·신산업 분야 과제 논의

 

제주연구원, 22일 ‘지속 가능 사회 전환 대토론회’ 개최

 

 

제주지역 주요 산업의 지속 가능한 전환을 위해 청정 에너지 전환 시스템 확산과 민간우주산업·바이오헬스 활성화를 추진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제주연구원은 22일 제주시 신산로에 위치한 제주콘텐츠진흥원 비인(BeIN) 공연장에서 ‘지속가능 사회 전환을 위한 제주진단 대토론회-도민과 함께 제주의 미래를 그리다’를 개최했다.

이번 토론회는 제주연구원 미래기획 전략과제의 일환으로, 제주 산업의 지속 가능한 전환을 모색하고 민선 8기 도정 정책에 대한 도민·전문가들의 의견을 청취해 향후 과제 및 실질적인 대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날 토론회는 에너지 대전환 분야와 신산업 육성 분야를 주제로 열렸다.

토론회에서 에너지 대전환 분야 ‘현실로 다가온 미래와 제주의 도전’ 주제 발표에 나선 이상목 한국생산기술연구원(KITECH) 원장은 “제주도는 ‘탄소중립 2035 비전’을 제시한 후 재생에너지 입찰 시장 도입과 광역 지자체 유일 탄소중립 선도도시 선정, 전국 최초 일시적 RE100 달성, 분산에너지 특구 후보지 지정 등 성과를 달성했다”며 “특히 남는 에너지를 필요한 에너지로 바꾸는 ‘청정에너지 전환 시스템’을 가정, 공공시설, 산업 분야 등으로 확산해야 한다”고 말했다.

채태병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국가위성정보활용지원센터장은 신산업 육성 분야 ‘민간우주산업’ 주제 발표를 통해 “제주는 위성데이터 수신 처리 활용을 통합 수행할 수 있는 실증거점으로 잠재력을 보유하고 있다. 청정한 전파환경으로 위성운영의 안정성 향상에 유리하고, 재생에너지 활용을 통한 위성정보 활용 인프라 유치 및 운영에 유리하다”며 “우주산업화 활성화를 위해 민간의 참여 투자 효율화, 정부·지자체의 공공서비스 생태계 조성을 위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어 신산업 육성 분야 ‘바이오헬스’ 주제 발표에 나선 문미옥 전(前)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1차관(포항공대 박사)은 “제주도는 그린(화장품·식품), 레드(천연자원 기반 신약 개발), 해양(용암해수 기반 산업 다각화) 등 3대 축을 중심으로 바이오산업을 추진하고 있다”며 “제주도 국제청정바이오연구기지 건설로 글로벌 바이오 기업·연구소 유치 특화, 세제 혜택 등을 추진해야 한다. 또 지적재산권 관리, 임상시험 규제 샌드박스, 국제공동연구 비자제도 등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1. https://www.samdailbo.com/news/articleView.html?idxno=252686 (삼다일보)

  • 다음글 다음글이 없습니다.
  • 이전글 이전글이 없습니다.
새소식
Total : 771
게시물 검색
새소식 목록
Notice 2025-10-02 [디지틀조선일보] “폐쇄적 AI, 가짜 혁신 위험 불러” (물리 노영균 동문) 새글
Notice 2025-09-30 [아시아경제] BISTEP, ‘제11회 부산 R&D주간’ 열어… AI·바이오 혁신기술 논의의 장 (물리 염한웅 교수)
Notice 2025-09-29 [동아사이언스외2건] 포스텍, 초임계 유체에서 ‘나노 액체 클러스터’ 첫 실험 입증 (첨단원자력/물리 윤건수 교수)
Notice 2025-09-25 [뉴스웍스외1] ‘대형가속기법’ 시행…전문인력 양성·좋은 일자리 계기 돼야 (첨단원자력/물리 정모세 교수)
Notice 2025-09-24 [삼다일보] 지속 가능 제주 에너지·신산업 분야 과제 논의 (물리 문미옥 동문)
Notice 2025-09-17 [이데일리] 과학강국 꽃피울 씨앗 ‘기초과학’ (첨단원자력/물리 정모세 교수)
Notice 2025-09-09 [수상] 김범준 교수, 2025년 제39회 인촌상 과학·기술 부분 수상
2025-08-28 [퍼블릭뉴스통신] 바리스타 필요 없는 스페셜티 커피 구현…안형전 물리학 박사의 'REAL9' 혁신 (물리 안형전 동문)
2025-08-25 [뉴시스] 포항 APEC 기념 ‘미래 양자 기술 전망 포럼’ 마무리 (물리/융합 김윤호 교수)
2025-08-13 [뉴시스외6건] 가속기 가동 중에도 이온 빔 변형 연구 가능해진다 (첨단원자력/물리 정모세 교수)
2025-07-18 [경북매일외10] 포스텍 김동언 교수팀, 양자 터널 안에서 일어난 충돌…전자의 숨겨진 움직임 첫 규명
2025-07-14 [시사저널e] AI 환경 ‘레벨업’···“GPU만 많다고 AI가 돌아가나요?” (물리 신정규 동문)
2025-07-14 [한국경제] “과기정책, 이대론 추격자 신세…정부가 1등상품 만든단 착각 버려야” (물리 염한웅 교수)
2025-07-14 [경북매일외7] 포스텍, 이대수 교수팀, 현미경 탐침 전자기기 속 나노 세상 정밀 조절
2025-07-09 [문화일보] 파격 연구비·정년확대…석학들, 지역대학 몰려간다 (최영준 교수)
top_btn